Lunar Surface main image
LUNAR SURFACE
2014, 2015
Bucheon Incinerator (Now B39), Bucheon KR
Digital photo print 1500 x 1000mm, live scanning installation [dimensions variable]
In collaboration with photographer Eunyoung Kim

A vertical flag of fabric is stroked by the wind, displaced by curves of air, swinging back and forth. As it sweeps, it leaves a trail of light which draws a heavy fragile moon floating in space. The flag renders this moon from another reality, the silk surface acting as an intermediating manifold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The artists worked within the concrete chambers of Bucheon city Incinerator, a stagnant industrial processing plant decommissioned in 2010. Breathing over 50 tonnes of new air into the building, the artists create a wind which blows a 20 meter flag of silk which is activated by digital light. This process renders a virgin moon into the post-industrial cavern.

At locations within the building, the artists collaborated with photographer Eunyoung Kim to capture moments of the moon being birthed. Long exposure photography trades the dimension of time for a dimension of space, extruding the moon into existence on a set of photographic prints, capturing a painting enacted by the details of the wind.

Inspired by the 2 moons of Haruki Murakami's 1Q84 and the flags of space travel, the artists present a portal into another existence where another moon orbits. This other place is made material by the fabric of the flag.

Lunar Surface begins a new line of enquiry for drawing into the air for studio Kimchi and Chips, forming artistic collaborations between technology and nature. The fabric is tracked by a 3D camera whilst a projector replays a response onto it according to its evolving shape.

부천의 소각장(현재는 예술 공간인 B39)에 설치되었던 <루나 서페이스>는 장노출 기법으로 촬영되고 인쇄된 사진 작품이다.

커튼처럼 드리워진 하얀 실크 천은 바람에 의해 파도처럼 움직인다. 설치된 3D 카메라는 실재 공간 속 천의 움직임을 스캔하고 그 움직임의 데이터를 컴퓨터로 실시간 전송한다. 컴퓨터는 전송된 천의 움직임 데이터와 가상에 그려 놓은 구(작가는 이를 달이라고 부른다)를 조합하기 시작하는데 이때 천의 움직임은 가상 속 구의 표면을 통과하며 구의 단면들을 천위로 다시 프로젝션 한다.

프로젝터에 의해 천 위로 그려지는 구의 단면은 크기가 다른 원의 움직임처럼 단순화되어 보인다. 이 원들을 장노출 기법으로 촬영하여 추상적 달의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본 작업의 제작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장노출 촬영으로 움직이는 천은 사라지고, 프로젝션 된 가상의 구만 이미지화 되어 남게 된다.

작가는, 실제로 존재했지만 사진에서는 사라져버린 천의 부재와 종국에 이미지로 남게 되는 가상 속 달의 존재 사이의 경계를 탐험하며 루나 서페이스의 시리즈를 완성해가고 있다.

01
02
03
04
05
06
07
08
Making of ↓
Outdoor study
Gallery study
09
10
11
Seoul Art Space Geumcheon 2014